반응형
카카오는 공동체(전 계열사)의 일하는 방식으로 '메타버스 근무제'를 발표했다.
근무 장소와 상관없이 가상공간에서 동료와 항상 연결돼 온라인으로 가능한 한 모든 일을 하는 방식이다.
카카오는 기존 재택근무와 달리 음성 채널에 실시간 연결돼 소통하는 점을 특징으로 내세웠다.
주 4일은 이 같은 근무방식을 유지하고, 나머지 하루는 오프라인 장소에 모여 회의를 하기로 했다.
'코어타임'을 도입해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반드시 일하도록 했다
6월 말 완전 재택근무가 끝나면 7월부터는 이 같은 메타버스 근무제를 시범 운영할 계획이었다.
음성 채널을 켜놓고 1~5시 코어타임 도입.
이렇게 되면 실시간으로 직원을 감시하고 사실상 유연근무제가 아니게 됨.
그래서 카카오 내부 반발이 심하게 있었고 결국 남궁훈 카카오 대표는 재검토하기로 함.
같이 보면 좋은 글
네이버 재택 근무 정책
코로나 엔데믹을 맞아 국내 IT 기업들이 2년여 지속된 전면 재택근무를 대체하는 방식을 도입하는 가운데, 네이버와 게임 업계가 극명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. 새 사옥을 완공한 네이버는 직원들
devmoney.tistory.com
출처
https://www.mk.co.kr/news/it/view/2022/05/481490/
파격이라던 카카오 재택근무…하루만에 뒤집힌 이유는
근무방식 내부반발 거세자 "투표로 결정" 부랴부랴 진화
www.mk.co.kr
반응형
'직장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현대차 직원주차장에 타사차 제한 (0) | 2022.06.08 |
---|---|
미국 대기업 평균 연봉 (2021년) (0) | 2022.06.07 |
공기업 초봉 순위 TOP 10 (0) | 2022.05.23 |
대기업 초봉 순위 TOP 10 (0) | 2022.05.23 |
네이버 재택 근무 정책 (0) | 2022.05.20 |